정부정책정보

내 가구 중위 소득: 계산 조회 확인방법 50% 60 80 120 150 180 250%복지의 판단 기준율

시원헬스 2024. 4. 8. 06:30
반응형

가구별 지금 시점의 중위소득을 쉽게 조회하기
가구별 지금 시점의 중위소득을 쉽게 조회하기

가구별 지금 시점의 중위소득을 쉽게 조회하기

2023년 중위소득 5.47% 증가 - 2015년 이후 역대 최대 증가율'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 가입 가능 - 청년도약계좌(2023년 도입 예정)'

2024년 청년지원정책 중 청년도약계좌의 대상 확대 250%로 대기업 신입사원의 수준까지로 확대한다고 합니다.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 가입 가능 - 청년도약계좌(2023년 도입 예정)'
'만 18세 미만 희귀 질환아동 의료비 지원 - 소득기준 중위 120%에서 130%로 확대'
'청년월세 특별지원사업(월 20만 원 12개월 지원) - 청년독립가구 중위소득 6 0% 이하'
'청년 일저축계좌 -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

65세가 되면 받을 수 있는 기초연금은 소득·재산평가액의 합이 70% 이하일 때 대상자가 됩니다.  

 

살아가면서 '중위소득'이란 개념을 생각보다 자주 접하게 됩니다. 정부가 복지지원 대상을 선정할 때 중요한 지표로 삼고 있는 중위소득은 우리 삶과 아주 밀접하게 연결돼 있습니다.

그렇다면 복지판단 중위소득은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중위소득이 뭐야? 가구별 중위소득을 쉽게 확인하기
중위소득이 뭐야? 가구별 중위소득을 쉽게 확인하기

 

쉽게 말해서 '국민들의 소득을 일직선으로 짝 폈을 때 가장 중간에 오는 값'을 말합니다. 만약 내가 중위소득 기준에 딱 들어맞으면 우리나라 국민들 중에서 중 간 정도로 돈을 벌고 있구나 생각하면 되는 것입니다.

 

중위소득은 '중앙생활보장위원회'라는 기구에서 엄격한 기준에 의거하여 심 의, 의결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중위소득이 전년 대비 '얼마나 오르냐'는 것이다. 중위소득과 연동된 복지 지원사업이 많아 정부 복지 예산 지출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살펴보는 복지정책의 판단의 예

기초생활수급자가 받게 되는 각종 급여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0% 이하에 해당돼야 수령할 수 있습니다.

2023년 기준, 1인 가구는 약 62만3000원, 2인 가구는 103만 6000원 수준입니다. 정말 어려운 사람들에게 지급되는 정부 복지급여의 최후 방어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복지의 판단기준율 :

  • 생계급여의 기준중위소득액은 30%이하여야 합니다.
  • 의료급여는 중위소득의 40%
  • 주거급여는 47%
  • 교육급여는 50%
  • 중위소득이 올라가면 기준 % 이내에 포함되는 사람들이 더 많아지고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이 뭐야? 가구별 중위소득을 쉽게 확인하기
중위소득이 뭐야? 가구별 중위소득을 쉽게 확인하기

위의 표처럼 매년 가구별 중위소득이 조금씩 우상향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복지 사각지대를 줄여나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표식입니다.

 

손쉽게 계산조회하는 중위소득확인 방법 :

아래와 같이 기본 정보를 입력하면 내 가구 중위소득을 바로 계산·조회·확인됩니다.

1번 : 내 가족의 가구원 수의 합을 입력합니다. 내가 독립을 가정한다면 1인 가구로 지정할 수도 있겠습니다.

 

2번 : 받고자 하는 복지의 대상되는 중위가구의 구간을 입력합니다. 예를 들면 기초연금은 70%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70을 입력하면 됩니다. 

 

계산하기를 탭하면 지정한 판단의 중위소득액이 나오게 되는데 이 금액의 미만이면 해당자가 될 수가 있을 것입니다.

가구별 중위소득 판단을 위한 소득구간 알아보기 조회

다만 재산 평가액 등은 별도로 가상하여 판단하시기를 바랍니다.

보다 자세하게 계산해 보시려면 복지로 에 들어가서

자세하게 입력을 하면 보다 정확한 자료를 제시받게 됩니다.

 

내 가구 중위 소득: 계산 조회 확인방법 50% 60 80 120 150 180  지급 판단 기준점이하

 


 

 

 

반응형